TTY의 유래 TTY(TeleTYpewriter)는 초기 컴퓨터에 사용한 입력 기기입니다. 기존 컴퓨터는 천공 카드를 이용해 입력을 받았는데요. 그러던 중 이러한 전신타자기(TTY)가 등장하고, 이 TTY로 컴퓨터에 접근하기 시작했습니다. 그 용어는 지금까지 사용되어 지금까지도 Linux에서 터미널을 지정하는 용어입니다. TTY TTY는 콘솔 또는 터미널 디바이스를 의미합니다. 보통 콘솔은 컴퓨터에 직접적으로 연결된 입출력장치로 CLI를 통해 명령어를 전달할 수 있는 인터페이스를 말합니다. 보통 1~6번까지 존재하며, ctrl + alt 1~6으로 전환할 수 있습니다. X-Windows 환경은 컴퓨터를 부팅시키면서 직접 접속되기 때문에 콘솔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, 사실 서버-클라이언트 구조를 가지고 있..
Overview 개인 노트북의 메인 OS를 Gnome가 적용되어 있는 Manjaro Linux로 바꾸고, 기본 터미널에 vi -> vim alias설정이 되어있지 않았습니다. 평소 vi 명령어를 통해 vim에디터를 사용하였기 때문에, 설정을 바꿔보도록 하겠습니다. Alias 적용하기 manjaro linux의 터미널은 non-login shell입니다. Manjaro linux의 Gnome GUI에서 제공하는 터미널은 보통 로그인 없이 실행하는 non-login shell로 zsh를 사용합니다. Login Shell에서는 아래와 같은 파일들을 읽습니다. /etc/profile ~/.bash_profile ~/.bashrc /etc/bashrc manjaro linux의 default terminal인 z..
swap이란? swap이란 간단히 메모리가 부족할 때 디스크의 공간으로 램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게 해주는 것입니다. 아마존 리눅스에서는 dd를 통해 swap file을 생성하고 이를 swap area에 넣어줍니다. 이제 swap을 생성해보겠습니다. swap 생성하기 1. swap file 만들기 $ sudo dd if=/dev/zero of=/swapfile bs=128M count=32 2. 권한 주기 $ sudo chmod 600 /root/swapfile 3. swap area 설정하기 $ sudo mkswap /root/swapfile 4. swafile을 swap area에 추가하기 $ sudo swapon /swapfile 5. 확인해보기 $ free total used free shared..
htop은 리눅스 서버/VM을 실시간 (기본적으로 1초마다 갱신)으로 모니터링할 수 있는 툴입니다. f1 - f10까지 있는 다양한 기능으로 효율적인 관리를 가능하게 합니다. f1/help : htop에서 표시해주는 지표의 의미등을 알 수 있습니다 f2/Setup : htop을 설정할 수 있습니다 f3/Search : 원하는 프로세스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f4/Filter : 프로세스를 필터링합니다 f5/Tree : tree 구조로 보여줍니다 f6/Sortby : 원하는 값으로 정렬합니다 f7/Nice - : nice값 (process 우선순위)를 높입니다 f8/Nice + : nice값 (process 우선순위)를 낮춥니다 f9/Kill : process에 signal을 보낼 수 있습니다. ( 대표적으..